반응형 전체 글36 [글로벌 교육 시리즈 Ep.5] 싱가포르 교육 – 경쟁과 혁신 사이, 균형을 찾는 나라 싱가포르 교육의 핵심은?PSLE(초등학교 졸업시험) 중심의 조기 선발초등 6학년에 전국 단위 시험(PSLE)을 치르고 성적에 따라 중학교 종류(특목/표준/기술 계열)로 나뉨일찍부터 진로가 결정되는 구조엄격한 학력 중심 문화수학, 과학 교육 강세 (PISA 상위권)대학입시도 성적 중심, (단, 국가장학생제도 및 특기자 선발 확대 중(기초학력 + 미래교육 병행AI·코딩 교육, 디지털 리터러시 강화창의성·비판적 사고 중심 커리큘럼 도입 시도국가 주도형 시스템교사 선발, 연수, 평가까지 국가 통제교사 직업 안정성과 전문성 높음교육부가 모든 교육과정·교재를 관리 싱가포르 vs 대한민국 항목 싱가포르 .. 2025. 5. 10. [글로벌 교육 시리즈 Ep.4]일본 교육, ‘조용한 교실’ 뒤에 숨은 시스템과 변화의 흐름 일본 교육의 특징은?학력 중심의 강한 학습 문화중·고등학교까지 시험 중심 교육‘모두가 같은 내용, 같은 속도’로 배우는 균형 강조입시 위주의 암기식 수업 여전집단 생활 교육‘개인보다 집단’을 중요하게 여기는 문화 반영급식, 청소, 행사 등을 학생이 함께 수행 (책임감과 질서 강조)반 단위 생활 중심으로 협동심 교육자율성과 창의성 회복 시도최근 ‘유토리 교육’(ゆとり教育, 여유 교육) 도입 → 암기식 탈피 시도하지만 학력 저하 논란 이후 다시 균형 교육으로 회귀 중고등학교까지는 무상 교육유아교육은 일부 지원고등학교는 의무교육은 아니지만 학비는 국가 보조 일본 vs 🇰🇷 한국 비교 항목 일본 .. 2025. 5. 9. [글로벌 교육 시리즈 Ep.3] 한국 vs 핀란드 vs 베트남 교육의 방식은 다르지만…아이를 향한 마음은 같아야 하지 않을까교육은 그 나라가 아이를 어떻게 바라보는가에 대한 ‘철학’이다.이번 회차에서는 한국, 핀란드, 베트남의 교육 시스템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한국한국은 여전히 ‘수능’이라는 단일 시험이 입시를 좌우한다.초등부터 고등까지 평가와 경쟁이 일상이고, 그 과정에서 사교육 의존도가 매우 높은편이다.특히, 유아교육은 일부 지자체 지원 외에는 부모의 부담이 큰 편으로 작용한다. 평가 중심: 전국 단일 시험(수능)에 과도하게 의존사교육 강세: 입시 경쟁 → 조기 사교육 과열유아기 지원 약함: 국가의 유아교육 지원은 제한적 핀란드핀란드는 시험이 거의 없다. 초등학교 시기엔 성적표도, 등수도 없다.놀이 중심 교육은 아이들을 학습에 대한 흥미를 자연스럽게 키우게 하고.. 2025. 5. 8. [글로벌 교육 시리즈 Ep.2] 핀란드 교육 핀란드는 세계에서 가장 학생 행복지수가 높은 나라 중 하나로 그 비결은 바로 “시험 없는 교육”, “놀이 중심 수업”, “신뢰 기반 자율성” 이 핵심이다. 핀란드 교육의 핵심시험은 고등학교 때까지 사실상 없음성적 경쟁보다 “이해” 중심초등학교는 ‘등수’나 ‘성적표’조차 존재하지 않음놀이가 수업이다유아기, 초등학교 저학년까지는 놀이가 중심수업과 놀이의 경계를 없앰교사의 자율성 100% 보장국가 교육과정은 가이드라인 수준수업 구성, 평가 방식, 교재 선정까지 교사가 자율적으로 결정입시보다 ‘평생학습’ 중심대학 입시는 단 한 번의 시험이 아닌과목별 성적 + 자기소개서 + 인터뷰 등 다양한 방식 활용 한국과 비교하면? 항목 .. 2025. 5. 7. 이전 1 2 3 4 5 6 ··· 9 다음 반응형